근원물가란?
2019. 5. 9. 23:57ㆍ초보의 세상공부/경제
반응형
근원물가란?
경제상황에 따라 물가변동이 심한 품목을 제외하고 산출한 물가지수
2017년 현재 근원물가지수는 전체 소비자물가 460개 품목 중에서 계절적으로 영향을 받는 농산물과 외부적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 석유류등 53개 품목을 제외하고 407개 품목을 집계하여 계산한다.
근원물가를 산출하는 이유는 정부의 통화량 조절을 위해서다.
물가가 상승하면 통화량을 줄이게 되는데 만약 물가 상승이 일시적인 요인으로 인한 거였다면 긴축통화정책이 악영향을 미치게 되어 디플레이션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근원물가지수가 발생하게 되었다.
근원물가지수는 장기적으로 경제의 물가수준을 파악하는데 유용하나 석유, 농산물 가격 배제로 서민 체험 물가와 괴리가 크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출처 : 네이버 지식 백과 https://terms.naver.com/)
◇ 관련신문기사 보기
- 유류세 인하에…소비자물가 4개월·근원물가 2개월째 0%대
- 넉달째 0%대… ‘역대 최저’ 물가에 ‘D의 공포’ 고개
- 연준 '물가 지표' 다시 보기…"근원 PCE 아닌 헤드라인 봐야"
- 캐피털이코노믹스 "연준, 낮은 근원 물가에 금리 인하 고려해야"
'초보의 세상공부 >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핀테크(Fintech)란? (0) | 2019.09.02 |
---|---|
경제용어 : 경공업이란? (0) | 2019.06.18 |
DLS(파생결합증권) (0) | 2019.03.20 |
ROE(자기자본이익률) (0) | 2019.03.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