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가 순자산 비율 : PBR

2018. 9. 4. 22:41초보의 세상공부/금융

반응형

주가 순자산 비율 : PBR

주가를 주당순자산가치(BPS, book value per share)로 나눈 비율로 주가와 1주당 순자산을 비교한 수치이다. 즉 주가가 순자산(자본금과 자본잉여금, 이익잉여금의 합계)에 비해 1주당 몇 배로 거래되고 있는지를 측정하는 지표이다.


PBR가 1이라면 특정 시점의 주가와 기업의 1주당 순자산이 같은 경우이며 이 수치가 낮으면 낮을수록 해당기업의 자산가치가 증시에서 저평가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즉, PBR이 1 미만이면 주가가 장부상 순자산가치(청산가치)에도 못미친다는 뜻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PBR (시사상식사전, 박문각)


PER과 더불어 기업의 주식 가치를 평가하는 주요기준이다. 

PER이 기업의 수익성을 파악한다면 PBR은 현재 기업의 재무상태를 파악하는데 도움이 된다. 



관련기사 살펴보기


코스피 PBR 1배 시대…PBR·PER 모두 낮은 '저평가' 주식들


[이시각 업종별 저PBR] 두산건설 0.2배, 자본재 1위


효성, PBR 0.3배로 절대 저평가 영역-하이투자證


"'PBR1배' 투자시기 판단지표로는 부족"

'초보의 세상공부 > 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융용어 - 커버드 콜  (0) 2018.10.20
은산분리 용어 정리  (0) 2018.10.04
가산금리란?  (0) 2018.06.19
금융상품 통합 비교할 수 있는 '금융상품 한눈에'  (0) 2018.04.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