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동성 지수( VIX )

2018. 4. 11. 22:16초보의 세상공부/금융

반응형

변동성 지수 (VIX) 알아보기


주가지수 옵션 가격에 내재된 주가지수의 변동성을 나타낸 지수를 말한다. 


주가지수 옵션 가격에 내재된 주가지수의 변동성을 나타낸 지수로, 옵션시장 투자자들이 예상하는 미래 주가 변동 가능성을 나타내는 지수이다. 변동성 지수가 상승한다는 것은 향후 주식시장의 불확실성이 커진다는 의미이며, 이는 투자 손실의 위험이 높아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변동성 지수는 주식시장의 지수 움직임과 반대방향으로 움직이며, 주식시장이 상승할 때 보다 하락할 때 더 큰 변동을 보이기 때문에 투자자들의 공포심리를 나타낸다고 하여 공포지수라고도 불린다. 


1993년 미국 시카고옵션거래소(Chicago Board Options Exchange, CBOE)에서 듀크대학의 로버트 웨일리(Robert Whaley)교수가 S&P100 지수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변동성 지수를 처음 개발하였으며, 2003년 9월에는 S&P500 지수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새로운 변동성 지수가 도입되었다. 이 변동성 지수는 2008년 하반기 글로벌금융위기 발생 때 사상 최대치를 나타내면서 국내에도 널리 알려졌다.


아시아 국가 중에서는 우리나라가 KOSPI200 지수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한국형 변동성 지수(VKOSPI)를 2009년 4월에 최초로 개발하였다. 일본은 2010년 11월에 Nikkei225 지수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닛케이 평균주가 변동성 지수(VNKY)를 내놓았으며, 홍콩은 홍콩항셍지수(HSI)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홍콩형 변동성 지수(VHIS)를 2011년 2월에 개발하였다. 우리나라 변동성 지수인 VKOSPI는 한국거래소 홈페이지(www.krx.c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543698&cid=40942&categoryId=31830


변동성 지수의 의미와 더불어 투자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 포스트가 있다. 

키움증권에서 발행한 네이버 포스트인데 간략한 설명과 함께 투자시 주의할 점들이 자세히 설명되어 있다. 


자세한 내용이 알고 싶으면 여기를 클릭하면 된다. 


(키움증권 포스트 바로가기 )